티스토리

솔모루
검색하기

블로그 홈

솔모루

ieditors.tistory.com/m

김윤식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효헌공 김찬 시장 - 02 태상시장록 효헌공 김찬 시장 - 02 태상시장록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5. 13.
  • 효헌공 김찬 시장 - 01 번암집(채제공) 효헌공 김찬 시장 - 01 번암집(채제공)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5. 13.
  • 나는 조국 장관을 지지하며 세상 끝까지 같이 하겠다. 그는 내가 만나거나 보거나 들은 사람 중에서 가장 청렴하고 마음이 깨끗한 사람이다. 나는 그의 결백을 믿으며, 사회개혁을 위한 그의 마음과 의지를 한없이 지지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4. 15.
  • 시전통석(詩傳通釋) 발문 子曰。興於詩。又曰。不學詩。無以言。又曰。人而不爲周南召南。其猶正墻面而立也與。其學者之。不可不學詩。如此夫。吾東方地與中國遠。學者病難得觀。己卯冬。晉陽倅金君明理。出家藏詩釋。請刊行。欲兼喜志學之士。適觀察趙公璞。喜其意。俾之命工鋟梓。未訖而見代。曁後觀察全公伯英。來繼督之。於辛巳春。告畢。鳴呼。數君子有功於斯文者。豈曰小哉。皇明建文三年三月丙戌。權知校書校勘蘇好仁。謹跋。 공자가 말하기를 “시(詩)를 통해 마음을 일으킨다.”라고 하고, 또 말하기를 “시(詩)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할 수 없다.”라고 하였으며, 또 말하기를 “?시경(詩經)?의 과 을 배우지 않은 사람은 마치 얼굴을 담벼락에 대고 서 있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공부하는 이들이 시(詩)를 배우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이와 같은데, 우리 동방은 지리적으로 중국과 멀리 떨어져서..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4. 12.
  • 선군척약재세계행사요략(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金明理]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金明理] 先君姓金氏。諱九容。字敬之。古諱齊閔。號惕若齋。所居堂曰六友。安東人也。父諱昴。重大匡上洛君。祖諱承澤。直亮同德佐理功臣三重大匡都僉議政丞判典理司事上護軍致仕。贈諡良簡公。曾祖諱愃。元忠端力安社保定功臣奉翊大夫副知密直司事典法判書上將軍。高祖諱方慶。宣授中奉大夫管高麗軍征東都元帥推忠靖亂定遠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都僉議中贊上洛郡開國公。食邑一千戶。食實封三百戶。諡忠烈公。母輸誠秉義協贊功臣重大匡都僉議贊成事商議會議都監事上護軍諡文溫公及菴閔思平之女也。娶通直郞禮儀正郞南陽洪義元之女。生三男。曰明善。曰明理。曰明允焉。至元戊寅十二月辛卯。先君生。至正十三年癸巳。年十六。宋天奉監試。中擧子科。新進士等。詣闕肅拜。上親試賦牧丹詩。先君居其首。上奇之。賜職散員。十五年乙未。安乙起榜登科。拜德寧府注簿。歲癸卯。拜正言。移獻納。洪武元年戊申。拜典校副令。歲辛亥。拜民..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4. 12.
  • [금석집첩180] 반남인 박상충 - 世와 代 [금석집첩180] 반남인 박상충 - 世와 代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한 사례 박상충 선생이 시호 문정(文正)을 받은 내력과 이를 계기로 후손들이 선생의 옛 집터에 사우를 건립하기 위한 논의 등을 적고 있다. 이 글을 지은 이가 박세채 선생이다. 앞부분에는 으로, 사우 건립 논의에 참석한 내외손 명단에는 으로 적었다. 이외에도 후손들 명단을 살펴보면 이 글은 로 인식한 자료라 하겠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3. 12.
  • [금석집첩] 문화인 유인선 효우비(文化人 柳仁善 孝友碑) [금석집첩] 문화인 유인선 효우비 / 양사언 글씨 문화인 유인선 효우비 文化人 柳仁善 孝友碑 孝友柳公旌閭之碑 孝友門傳 門去縣西十五里自作村大道右 吾七叔文化柳公仁善公叔之旌也 公高麗大丞車達之後 世登槐棘 音徽不昧 公生而端秀 長益敦方 秉禮律己 治喪葬必有聞 薦祀祭必親執 鄕黨畏敬 兄弟之困於資地者 必分其衣食 惡其寒餒 不敢數 怒曰 兄弟一閭 天下至樂 爾何間朝夕 片時相違 鬱陶已甚 作樗蒲戱 賭貨物 陽負輸與 必欲分張 然後以安于心 蓋公孝友天至 一家愛如父母 畏若神明 庭戶無間言 子弟無過擧 余嘗一拜于門屛 辱賜之坐 肅乎其容 金相而玉振也 鏘鏘乎其言 若鳳鳴而韶奏也 斬斬焉井井焉 其儀可度 諤諤焉囂囂焉 其知有立 如近玉雪照映人也 對光風霽月 獨立乎高山鉅海之上也 嘉靖年間 以行薦 徵以四山監役 俄見罷 在官凡幾月分 山直夫遮回路 泣曰 天奪我父 吾其奈何 至今..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3. 3.
  • [전의이씨] 이원배 묘갈문 (판독문) 이 글의 원글은 이이명 선생의 에 실려 있는데, 비석을 세우면서 몇 글자가 수정되었다. 북받치는 감정을 절제한 이이명 선생의 글도 그렇거니와 당시 상황에 맞게 내용을 고친 분의 문장력도 놀랍다. 분명 고쳤는데도 전혀 고치지 않은 것처럼 흔적조차 남기지 않았다. 빨간색이 수정하거나 추가한 글자이다. 1. 이이명 : 고전번역원에도 판독문이 실려 있다.(링크 참조) https://db.itkc.or.kr/dir/item?itemId=MO#/dir/node?dataId=ITKC_MO_0449A_0140_010_0110&solrQ=query%E2%80%A0%E6%9D%8E%E7%94%9F%E5%85%83%E5%9F%B9%E5%A2%93%E8%A1%A8$solr_sortField%E2%80%A0%EA%B7%B8%E..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2. 23.
  • [전의이씨] 이원배 묘갈문 전의이씨 이원배는 꽃다운 19살에 사랑하는 아내와 딸 하나를 두고 눈을 감았다. 그의 묘갈문을 이이명 선생이 짓고, 그 글을 친할아버지 이징하 선생이 전서로 썼다. 아내 경주김씨는 이이명 선생의 외손녀이니, 이원배는 외손녀사위이다. 두 분 선생에게는 더없이 사랑스럽고 애틋했을 테니 영결의 마음은 그야말로 가슴이 찢어지는 아픔이었으리. 이 묘갈문은 금석집첩 제151책 국(鞠)에 실려 있다. 제151책에는 단명한 수재들의 비문이 여럿 보인다. 이이명 선생의 에도 이 글이 실려 있는데, 몇 글자가 다르다. 비문을 새기면서 상황에 맞추어 몇 글자를 고친 듯하다. 금석집첩: 교토대 도서관 소장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2. 23.
  • 또 하나의 큰별 오늘 선생님께서 돌아가셨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2. 15.
  • [고문운율] 권1-001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2. 14.
  • 멀지 않았네 놈은 곧 ○○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30.
  • 광주반씨 판서 반석평(潘碩枰) 묘갈명 판서반공묘갈명(判書潘公墓碣銘) : 광주반씨 반석평(潘碩枰) 정사룡(鄭士龍)撰, 김로(金魯)書ㆍ篆 정사룡 선생의 에 실리지 않은 글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27.
  • [유튜브] 제보자X 제조공장 윤짜장, 죗값을 치러야지! 제보자X 제조공장 https://www.youtube.com/channel/UCHB7Lfc-tsx_lVWBMoekgIQ 제보자X의 제보공장 공정하고 밝은 세상을 위한 ‘제보자X의 제보공장’ 자본시장의 범죄, 기업범죄 사건을 분석하고 세상에 알린다면 그만큼 세상은 밝아지고 공정해질 것이라 믿습니다. 그런 일을 하려고 합니다 www.youtube.com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24.
  • 쪽바리 국민의 힘 광복절에 일장기 들고 나오는 매국노 태극기 모독단을 계속 두둔해 봐라. 다음 총선에서는 완벽하게 군소 정당으로 몰락하게 만들어 줄 테니까.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24.
  • 병장회의 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좋았어! 아주 대박이야. 동아야, 이대로 쭉~~~ 가. 이걸로 진보세력 천 년 집권이 이루어졌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21.
  • 국민의 적(敵) 당연히 왜구와 그 잔당 토착 왜구 아니겠어.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18.
  • 일본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 Ⅲ 일본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 Ⅲ 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4&prevPage=0&prevLimit=&itemId=fs&types=&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fs_015_0020_0060&position=1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13.
  • 경국대전의 내외명부(內外命婦) 규정 경국대전의 내외명부(內外命婦) 규정 내명부(內命婦) 【내명부(內命婦)】 정1품(正一品) : 빈(嬪) 종1품(從一品) : 귀인(貴人) 정2품(正二品) : 소의(昭儀) 종2품(從二品) : 숙의(淑儀) 정3품(正三品) : 소용(昭容) 종3품(從三品) : 숙용(淑容) 정4품(正四品) : 소원(昭媛) 종4품(從四品) : 숙원(淑媛) 정5품(正五品) : 상궁(尙宮)ㆍ상의(尙儀) 종5품(從五品) : 상복(尙服)ㆍ상식(尙食) 정6품(正六品) : 상침(尙寢)ㆍ상공(尙功) 종6품(從六品) : 상정(尙正)ㆍ상기(尙記) 정7품(正七品) : 전빈(典賓)ㆍ전의(典衣)ㆍ전선(典膳) 종7품(從七品) : 전설(典設)ㆍ전제(典製)ㆍ전언(典言) 정8품(正八品) : 전찬(典賛)ㆍ전식(典飾)ㆍ전약(典藥) 종8품(從八品) : 전등(典燈)ㆍ전채..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13.
  • 정은경 질병관리청 초대 청장 임명 축하드립니다 정은경 청장님, 취임을 축하드립니다. 늙은 부모 그늘에서 살고 있습니다. 정은경 청장님과 방역에 애쓰시는 직원 모든 분들께서 밤낮으로 희생해 주시는 덕분에 부모님과 저희들 목숨을 이어갑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12.
  • 노추(老醜) 김종인 대통령을 꿈꾼다고? 추하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8. 28.
  • 물길 설계 회암사는 물길 설계가 뛰어나다. 조금 여유가 생기면 물길을 하나하나 찍어야겠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6. 27.
  • 테스트 오랜만에 블로그에 들어왔더니 왕창 바뀌어 있다. 사용법을 모르겠다. ie에서는 글을 올릴 수 없게 바뀌었다. 크롬으로 접속해 테스트한다. 블로그 시대도 어느덧 저물고 있으니 더이상 고비용 자원을 투입하고 싶지 않겠지.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6. 6.
  • 놈은 곧 ○○할 것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5. 15.
  • 기다리고 기다리던 일 마침내 정경심 교수가 귀가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5. 15.
  • 미래 세대의 승리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은 진보세력으로서는 180석이라는 전대미문의 결과를 이룩했다. 아직도 미래통합당과 위성정당이 100석을 넘었다는 점은 통탄할 일이다. 열린민주당의 새로운 시도는 다행스런 점이고, 건강한 민중 세력이 발판을 확보하지 못한 점은 안타깝..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4. 18.
  • 안경창 묘갈명 ■ 안경창 묘갈명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安慶昌墓碣銘 許篈 謹齋後慶昌樂山水 以山水終 其友陽川許篈銘曰 生非生 死非死 吁嗟乎彦盛 生死而已 안경창 묘갈명 허봉 지음 근재 안축 후손인 경창은 산수를 좋아하여 산수에서 삶을 마쳤다. 그 벗 양천 허봉이 명을 지어 이른다. 살았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4. 12.
  • 문원(변시연) v01 문원(변시연) v01 문원(변시연)차례-v01.pdf 변시연 선생의 노작이자 대작이다. 차례만 A4용지 200쪽이 넘는다. 내용은커녕 제목도 아직 다 읽지 못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4. 11.
  • 동주 이민구 간찰 동주 이민구 간찰 이민구 : 1589년(선조 22년)~1670년(현종 11년) 임인년(현종 3년, 1662년) 3월 초열흘(음력)이니, 선생이 유배에서 풀려나 꽤 시간이 지나 만년에 쓴 편짓글이다. 국회도서관에 소장돼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4. 9.
  • 문숙공 김영돈 문숙공 김영돈 - 01 사위 오원경(보성인), 윤식(무송인) 오원경은 잘못된 자료. 김영돈n2.zip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4. 5.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