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돈] 고려사 - 규장각 해제(奎貴 3539)
고려사 - 규장각 해제(奎貴 3539)
<서지정보>
원서명 | 高麗史 | ||||||
현대어 서명 | 고려사 | ||||||
청구기호 | 奎貴 3539-v.1-85, 奎貴 3579-v.1-85, 複製奎貴 3539 v.2 | ||||||
편저자 (한자) | 鄭麟趾(朝鮮) 等撰 | 판본사항 | 木版本 | 간행지 | [刊地 未詳] | 책권수 | 139卷 85冊 |
편저자 (한글) | 정인지(조선) 등찬 | 간행연도 | [光海君5年 (1613)] | 간행자 | [刊者 未詳] | 책크기 | 34.4×21cm |
匡郭 | 四周單邊, 半葉匡郭:20.1×14.3cm, 有界, 9行 17字 注雙行 | 版心 | 上下花紋 黑魚尾 | 표기 문자 |
| ||
表紙,版心,卷頭書名 |
| ||||||
序,跋,卷首,卷末 | 卷首:進高麗史箋:景泰二年(1451)八月二十五日…鄭麟趾等, 高麗世系, 修史官:鄭麟趾[等諸臣銜名], 纂修高麗史凡例, 目錄 | ||||||
表題紙,內題紙 |
| 附 |
| ||||
藏書記, 內賜記 | 萬曆四十一年(1613)九月日 內賜高麗史一件 太白山史庫上 左承旨臣李[手決](奎 3539), 五臺山史庫上(奎 3579) | ||||||
刊記 |
| ||||||
자료소개 | 1451年(文宗 1) 鄭麟趾(1396-1478), 鄭昌孫(1402-1487) 등이 완성한 紀傳體의 高麗의 正史 | ||||||
목차 | 卷1-46:世家(太祖-恭讓王), 卷47-85:志:卷47-49:天文志, 卷50-52:曆志, 卷53-55:五行志, 卷56-58:地理志, 卷59-69:禮志, 卷70-71:樂志, 卷72:輿服志, 卷73-75:選擧志, 卷76-77:百官志, 卷78-80:食貨志, 卷81-83:兵志, 卷84-85:刑法志, 卷86-87:表(年表), 卷88-137:列傳:卷88-89:后妃傳, 卷90-91:宗室傳, 卷92-120:一般列傳, 卷121:良吏, 孝友, 烈女傳, 卷122:方技, 宦者, 酷吏傳, 卷123-125:嬖幸傳, 卷125-126:姦臣傳, 卷127-137:叛逆傳(卷133-136:禑王, 卷137:昌王) | ||||||
합철 |
| ||||||
소장본 | 원형복제(複製奎貴 3539 v.2) | ||||||
印記 | 宣賜之記 | ||||||
四部분류 | 史部 正史類 | 기타 |
| ||||
M/F번호 | M/F74-102-1(奎 3539/v.1-11), M/F74-102-2(奎 3539/v.12-23), M/F74-102-3(奎 3539/v.24-36), M/F74-102-4(奎 3539/v.37-47), M/F74-102-5(奎 3539/v.48-60), M/F74-102-6(奎 3539/v.61-76), M/F74-102-7(奎 3539/v.77-85) |
서명 | 高麗史 | 저자 | 鄭麟趾(朝鮮)等奉敎修 |
현대어서명 | 고려사 | 간행년도 | [刊年未詳] |
청구기호 | 奎貴 3539-v.1-85 | 서지번호 | B0001130627 |
형태사항 | 四周單邊,半葉匡郭20.2×14.1cm有界9行17字版心上下黑魚尾; 29.8×18cm(大小不同) | 책수 | 19冊(零本) |
판본 | 木版本 | 마이크로필름 | M/A97-16-5 |
복제주기 |
| 소장본주기 | 印:尹之印. |
일반사항 | 규장각소장:世家卷7-12,17,21,22,26,29-32,37,38,44-46,志卷22,26,27,36,37,表卷1,烈傳卷5,16-17,27-28(19冊)外缺 |
고려시대의 역사를 鄭麟趾(1396-1478), 鄭昌孫(1402-1487) 등이 1451년 (文宗 1)에 紀傳體로 찬진한 高麗의 正史이다. 규장각에 소장된 18종의 구성과 서지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2}: 1613년(光海君 5)에 발간된 목판본으로 {1}은 太白山, {2}는 五臺山 史庫에 각기 보관되어 있었다. 제1책에 目錄과 高麗世系, 凡例가 들어 있고, 제2책의 앞부분에 進高麗史箋이 붙어 있다. {3}: 연대미상의 목판본인데 결락된 29책은 필사본으로 보충되어 있다. 제1책은 후대에 필사된 것으로 修史官, 高麗世系, 進高麗史箋과 凡例를 담은 卷首와 목록이 들어 있다. {4}: 연대미상의 목판본인데 제41책{권108-110}은 결락되어 필사본으로 보사하였다. 제1책에는 修史官, 高麗世系, 進高麗史箋과 凡例를 담은 卷首와 목록이 들어 있다. {5}: 乙亥字로 간행된 활자본인데 제8·26·29의 3책은 필사본으로 보충하였다. 제1책에는 권수에 해당하는 進高麗史箋, 高麗世系, 凡例와 目錄 등이 실려있다. {6}: 연대미상의 筆寫本인데 백지에 필사된 것과 板心과 줄이 인쇄된 종이에 필사한 것의 두가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서 분류에 착오가 있어 제2책 뒤에 와야할 {권6-8} 부분이 제일 마지막의 제61책으로 정리되어 있고, 제일 앞에 와야할 목록이 제3책으로 되어있다. 특히 원래는 목록 없이 본문만 있는 137권 60책으로 구성하였는데 후대에 목록을 덧붙여 61책으로 만든 것 같다. {7}:연대미상의 목판본인데 제12·32·33·73책 부분은 필사본으로 보충되어 있다. 제1책에는 目錄과 高麗世系 등이 실려있다. {권4}는 제3책과 제4책에 중복되어 실려있는데 권4만이 실린 제4책은 다른 책들과는 판본이 다르다. 연표에 해당하는 {권86-87}은 결락되었다. {8}: 進高麗史箋, 高麗世系, 目錄 등과 함께 지리지 1권이 실린 제1책은 필사본이고, 제6책과 제26-30의 6책은 乙亥字 활자본이며 나머지 23책은 목판본인 서로 다른 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8책의 {권9·10·44}와 제30책의 {권110}은 전체가 아닌 부분이 수록돼 있다. {9}: 연대미상의 목판본인데 {권76-77, 91-93} 부분이 결락된 零本이다. 순서에 약간의 착란이 있어서 제25책 다음에 와야할 {권58}부분이 제38책으로 되어있고, 후대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目錄과 進高麗史箋, 高麗世系 등의 부분이 중간부분인 제32책으로 되어 있다. 1·3·5·26·28·29·30·49·50책 등은 補寫된 부분이다. {10}: 乙亥字로 간행된 활자본으로 많은 부분이 결락된 零本이다. 제1책에는 進高麗史箋과 目錄 등이 실려있다. {11}: 연대미상의 목판본인데 4·6·15·17책은 필사본으로 보충된 것이다. {12}: 목판의 보충본 7책과 乙亥字 활자본 1책의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목판본은 원래 총 67책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 같은데 현재는 {권9-12}와 {권57-60}이 실린 7책만이 남아 있고 각기 2권 1책의 구성이다. 그 중에서도 {권9-10}과 {권57-58}의 두 책은 일찍부터 손실되어 전체가 필사로 되어 있고, 나머지 5책에도 같은 필체의 부분적 필사가 있다. 활자본인 제3책에는 {권131-132}(열전{권44-45})가 실려있다. {13}: 연대미상의 목판본으로 1책 2권의 형태로 편집되어 있다. {권5-16}의 제1-6책과 {권21-22}의 제7책은 판본이 서로 다르다. {14}: {권104}(열전 {권17})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기록된 필사본이다. {15}: 연대미상의 목판본인데 {권15-16}과 {권25}이 실린 2책만이 남아 있다. {16}: 연대미상의 목판본인데 {권21}부분만이 남아 있다. {17}: 연대미상의 목판본인데 {권15-16}이 실린 1책만이 남아 있다. {18}: 乙亥字로 간행된 연대미상의 활자본인데 李齊賢의 열전 일부에 해당하는 {권110}의 21-23장의 3장만이 남아 있다. ≪고려사≫의 구성과 내용 및 사학사적 위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고려사≫<규3269> 해제 참조〔≪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 사부1, p.1〕.(최연식)